한국은행에서 기준 금리를 인상했습니다. 미국의 계속된 인상으로 같은 흐름으로 가고 있지만 이번만큼은 달랐습니다. 인상 단계가 베이비 스텝에서 머물렀기 때문입니다. 미국과의 금리는 이제 점점 큰 차이로 벌어지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
이번에 인상된 베이비 스텝은 금리 인상 단계 표현으로 1단계입니다. 1단계 베이비 스텝은 0.25%의 인상이며 2단계는 빅 스텝으로 0.5% 인상 3단계는 자이언트 스텝으로 0.75%를 올리는 것을 뜻합니다.
미국
미국의 현재 중앙은행 금리는 4%입니다. 이번 11월 3일에 자이언트 스텝으로 0.75%의 금리를 한꺼번에 올렸습니다. 미국의 기준 금리는 최고 의사 결정 기관인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ED)에서 연방공개시장(FOMC)에서 협의 하에 기준 금리를 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 소비자물가가 잡히지 않는 모습에 연방준비제도는 앞으로도 금리를 올리는 것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한국의 오늘 중앙은행 금리는 3.25%입니다. 오늘 11월 24일 발표로 베이비 스텝인 0.25%의 금리를 올렸습니다. 미국에서 계속된 급격한 인상으로 우리나라 또한 이번에는 0.5%의 인상인 빅 스텝을 예상했지만 상당히 작은 금리만 인상을 한 것입니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의 부동산 시장 침체기에 시장이 이자율 감당을 하지 못할 것이라는 예측이 됩니다. 사실상 부동산을 제외하더라도 급격한 금리 상승은 많은 곳에서 이자 감당이 힘들다는 예측과 사실이 나오고 있는 중입니다.
하지만 현재는 속도 조절만 했을 뿐 아직 상승이 멈춘 것은 아닙니다. 미국과의 금리 차이가 계속 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이 멈출 때 우리나라도 멈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아무리 짧게 잡아도 내년을 예상해야 합니다.
현재 금리 인상으로 인해서 전세 세입자도 없어지고 전체적인 매매 시장도 죽어가는 부동산 시장은 못해도 내년까지는 완전한 침체기로 볼 수 있습니다. 그 후에는 금리 상승이 멈추고 안정기를 찾아가면서 우선 경제부터가 살아나야 다른 시장도 돌아갈 것 같습니다. 한국은행의 금리 속도조절이 다행인 점도 있지만 불안한 점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재개발 광명 7구역 2022년 12월까지의 현 상황 (0) | 2022.12.11 |
---|---|
공공재개발 뜻 과 장점 단점 (0) | 2022.12.10 |
아파트는 하락 중 단독 주택은? (0) | 2022.11.23 |
지금 하락한 부동산 매매 가격 믿을 수 있을까? (0) | 2022.11.23 |
갭투자의 폭탄 돌리기 - 주택 시장 전세 대란 (0) | 2022.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