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 보는 방법 - 구글 지도, 네이버 지도, 카카오 맵(다음 지도) 보는 법은 하나
인터넷으로 지도를 찾아보는 일은 일상생활에서 정말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종이지도도 그렇고 각 회사에서 제공해 주는 지도들을 보면 방위, 방향을 표시해 주는 곳은 많이 없습니다. 구글 지도, 네이버 지도, 카카오 맵(다음 지도) 들을 봐도 방위는 표시는 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 이유가 지도를 보는 방법에는 공식이 있기 때문입니다. 방위를 알기 위해서는 딱 하나만 알면 지도 보는 법은 정말 쉬워집니다.
인터넷 지도
컴퓨터로 확인할 수 있는 지도는 많은 업체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활용을 많이 하는 곳이 구글 지도, 네이버 지도, 카카오 맵(다음 지도)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오늘 화면에는 카카오 맵을 일부 캡처해서 가져왔습니다. 해당 화면에도 방위는 보이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지도를 보는 기본적인 공식이 있기 때문입니다.
방위가 없는 지도 보는 방법
- 동 : 지도의 오른쪽이 항상 동쪽
- 서 : 지도의 왼쪽이 항상 서쪽
- 남 : 지도의 위가 항상 북쪽
- 북 : 지도의 아래가 항상 남쪽
일반 종이 지도도 마찬가지입니다. 방위가 나와있지 않은 지도라면 어느 지도라도 항상 위가 북쪽 방향입니다.
지도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능
지도를 보는 법을 제외한 다른 기능들은 회사가 사용자를 위해 만들어 놓은 편의 기능들입니다. 따라서 구글, 네이버, 카카오 지도마다 특수한 기능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구글 지도에만 반경, 거리재기 등의 기능들이 빠져있지만 국내 기업인 네이버, 카카오 등은 기본적으로 들어가 있는 기능들입니다. 또한 지도로 편하게 땅의 용도(지역, 지구), 재개발 지역 등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 부동산 투자 시에는 활용도가 아주 높은 기능들입니다.
모바일과 차이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보는 지도는 방향의 전환이 가능합니다. 방향 전환은 구글, 네이버, 카카오 모두가 가능합니다. 즉, 모바일 지도에서는 방향의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도상에 방위의 표시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컴퓨터로 확인하는 지도와 달리 애플리케이션으로 확인하는 지도는 방위가 표시된 다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방위가 표시되는 것 말고는 기타 다른 많은 기능들은 인터넷 지도와 큰 차이점은 없습니다.
길 찾기 기능의 주의 점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기능 중 하나가 길 찾기 기능일 것입니다. 길 찾기는 출발 지점부터 도착 지점까지 동선부터 예상 시간까지 알려줘서 집을 구할 때, 생소한 곳을 찾아갈 때 등 많이 활용을 하는데요. 그러나 주의 아닌 주의점이 있습니다. 자동차 또는 대중교통 예상시간은 당연히 교통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도보 거리는 대부분이 정해진 평균 시간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도보 예상 시간은 네이버의 길 찾기도 카카오 맵의 길 찾기도 서로 다른 시간을 나타내며 1분당 도보 평균 이동 거리도 서로 다르며 보수적인 평균치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치를 확인할 때 도보 거리로 판단하시는 분들은 지도를 볼 때 이점 참고를 하고 생각을 해야 합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상가 건물 투자 방법 및 매매 전망 (0) | 2022.08.26 |
---|---|
부동산 건물 또는 토지 투자 시 북도로, 남도로, 코너 건물 지도로 구분 하는 방법 (1) | 2022.08.25 |
시세차익형 부동산 투자 - 종류 및 수익률, 장단점 (0) | 2022.08.22 |
수익형 부동산의 투자가 가능한 종류와 수익률 및 장단점을 알아보자 (1) | 2022.08.21 |
부동산 투자 유형 - 시작 전 종류 파악(갭투자, 소액투자, 수익형 부동산, 시세차익형 부동산) (0) | 2022.08.21 |
댓글